가끔씩 쓰는 다른 닉네임 ‘거친미세기’의 합성 구조에 대해.

노들 영산

가끔씩 쓰는 다른 닉네임 ‘거친미세기’의 합성 구조에 대해.

Spread the love
  1. 관형사 ‘거친’과 명사 ‘미세기’를 합쳐 만든 우리말 닉네임이다. 합성어가 문장이나 구句로 그대로 써도 우리말 문법상 어색하지 않은 통사적 합성어에 속한다. 그래서 간혹 ‘거친 미세기’라고 하시는 분도 보인다. 뭐 문장으로도 말이 되는 단어 조합이니까. ‘늘푸른나무’ 같은 경우처럼.
  2. 통사적 합성어는 속에 다른 합성어를 품어도 되는데 내 닉네임은 ‘미세기’가 그렇다. ‘미세기’는 ‘밀물’과 ‘썰물’의 합성어인데 ‘미세기’라는 단어를 보고 이걸 밀물+썰물이라고 인지할 수 있는 사람은 솔직히 거의 없으리라고 생각한다….
  3. 이는 ‘미세기’라는 단어의 합성 방식 때문인데, 만약 이 단어가 통사적 합성 방식이 되려면 ‘밀고 켜기’정도가 되어야 한다. ‘미세기’의 합성 방식은 ‘밀다→밀→미’+’켜다→ㆅㅕ다→쎄다→세다→세’+’기’로 이루어진다. ‘밀다’와 ‘켜다(현대어의 ‘당기다’)’와 명사형 접사 ‘기’ 어느 한 글자도 원래 형태와 안 맞고 심하게 변형된다. ‘밀다’는 그나마 변형이 적으나 접사 ‘-다’가 빠지고 어간만이 남아 다음 어간과 바로 붙는데, 여기에 한 술 더 떠 받침 ㄹ을 잃어버린다. ‘당기다’는 현대어가 아니라 옛우리말의 ‘ㅎ혀다’를 빌려 왔는데 이 역시 현대어로 넘어오면서 ‘당기다’라는 단어로 대체되었고 ‘ㆅㅕ다’도 ‘켜다’’세다’등의 소릿값으로 원형에서 많이 멀어졌다. 전성어미 ‘기’는 명사가 아닌 단어 어간 뒤에 붙어 명사처럼 쓰게 해 주는 명사형 전성어미인데 개별 언어인 ‘밀물’과 ‘썰물’과 마지막 글자가 달라지기 때문에….
  4. 따라서 ‘미세기’라는 단어는 완벽한 비통사적 합성어에 속한다. 그래서 ‘미세기’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딱 좋을 문장에 여태 ‘미세기’를 넣는 경우를 거의 못 본 듯. ‘밀물썰물’은 ‘밀물’과 ‘썰물’이 명사끼리의 합성어이므로 통사적 합성이니 알기 더 쉽긴 할 것. ‘밀물’과 ‘썰물’도 관형사형 동사+명사의 통사적 합성구조. 단 ‘썰물’은 앞 동사의 소릿값 변형을 수반함.

    많이 돌아왔는데 요는,

    ‘통사적 합성어는 다른 합성어를 품을 수 있는데 품긴 합성어는 비통사적 합성어여도 된다’.

    (좀 많이 돌아왔다😅)
  5. 이건 아마 제가 자주 이야기해서 다들 아시겠지만 이게 사실은 칸코레 칸무스 이름 ‘아라시오‘를 한글 이름으로 바꾼 이름입니다. 아래 사진이 바로 아라시오이며, 언니가 셋인데 아침미세기 큰미세기 찰미세기 이렇게 바꿀 수 있음.
마무리는 진짜 ‘거친미세기’로 마무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