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 Newspaper In Education(교수학습현장에서 신문을 활용한 교육)을 의미한다. 이십여 년 전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실제로 적극적으로 소년지를 활용해 재량수업에 쓰는 선생님도 계셨다. 오늘날의 초등학교에서도 이것을 재량수업에 쓰시는 쌤이 계신지는 잘 모르겠지만, 가짜뉴스가 난무하는 오늘날 어떻게 가짜뉴스가 퍼지고 이걸 어떻게 파훼할 수 있을까(링크)하는 글을 정리하다가 문득 초등학교 때 생각이 나서 써 본다.
당대의 NIE가 양질의 사회 기사를 읽고 해당 사건의 내용 요약과 숨은 주장 파악하기 등을 중심으로 이뤄졌다면, 오늘날의 NIE는 이것의 심화 과정으로 이 뉴스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원을 갖다 썼고 또 믿고 싶은 거짓을 믿고 싶게끔 만든 함정 트릭이 없는지 골라내는 미디어 리터러시가 핵심이 되면 좋지 않을까 한다.
예컨대 ‘아르토리아 팬드래건’ ‘히키가야 하치만’교수가 나오는 기사에서 저 두 교수가 실존하는 해외 교수 이름인지 알아보기 같은 것은, 실제로 교수학습현장에서 익살스러움을 이끌어내면서 어떻게 가짜뉴스임을 알 수 있는지 보여 주는 촌철살인의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그런 대표예시를 모아 걸러내고 교보재로 사용하는 것은, 교직원 개개인의 자원에 달려 있다.😇
한편으로 오늘날 언론사와 미디어 통신사를 향해 여기까지의 내용을 바꿔 말하자면 결국 도출되는 결론은 이거다.
너네 지금 이 정도로 수준 미달이라고! 😡
믿고 싶지만 믿으면 안 되는 것, 믿기 싫지만 믿고 받아들여야 하는 것. 이 당연한 것을 사회 구성원으로서도 마땅히 갖추어야 하지만 그것을 잊고 믿고 싶은 것과 믿기 싫은 것만으로 뻥짜팔이를 하는 행태는 오늘날 우리 모두가 반성하고 경계해야 할 것이다.